다들 한번쯤은 알바를 해본 경험이 있으실 텐데요. 혹시 알바할 때 휴일 계산을 제대로 못해 급여를 일부 떼어서 받으신 적 없으신가요? 다행히 그런 적 없더라도 혹시 모를 일을 대비해 주휴수당에 대해 미리 알아둘 필요가 있을 듯합니다.
주휴수당이란?
주휴수당이란 일주일 동안 규정된 근무일수를 다 채운 근로자에게 유급 주휴일을 주는 것을 뜻합니다. 다시 말해 휴일에는 근무를 하지 않아도 하루 분의 임금을 추가로 받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.
원칙적으로 주휴수당은 '하루 근로시간×시급'으로 계산됩니다.
월급 근로자와 시간제 근로자는 서로 다른 기준을 적용받는데요. 월급 근로자라면 월급에 주휴수당이 이미 포함이 돼 있는 반면, 시간제 근로자는 일주일에 15시간(5일로 계신 시 하루 3시간) 이상 근무했는지 여부에 따라 주휴수당을 지급할지 말지가 결정됩니다.
예를 들어 근로자가 하루 5시간씩 주 5일을 꼬박 채워서 근무를 하였다면 고용주는 근로자가 일주일에 하루를 쉬더라도 하루치 급여(5시간으로 계산)를 추가로 지급해야 합니다.
주5일 근무제의 경우 일주일 가운데 하루는 무급휴일, 또 다른 하루는 주휴일로 간주됩니다. 단 근무일 내 지각이나 조퇴는 근로 범위 내 포함되지만 결근은 포함되지 않습니다.
법적 근거는?
관련 법 조항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.
근로기준법 제55조
사용자는 일주일 동안 소정의 근로일수를 개근한 노동자에게 1주일에 평균 1회 이상의 유급휴일을 주어야 하며, 이를 주휴일이라 한다. 주휴수당은 이 주휴일에 하루치 임금을 별도 산정하여 지급해야 하는 수당을 말한다.
근로기준법 제18조(단시간근로자의 근로조건) 3항
4주 동안(4주 미만으로 근로하는 경우에는 그 기간)을 평균하여 1주 동안의 소정근로시간이 15시간 미만인 근로자에 대하여는 제55조와 제60조를 적용하지 아니한다.
근로기준법에 적시돼 있는 사항이기 때문에 이를 어길 시 고용주는 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. 주휴수당은 명백히 임금의 일부이기 때문에 고용주가 이를 지급하지 않을 경우 임금 체불로 노동부 진정의 대상이 될 수 있는 것입니다.
만약 고용주가 근로자에게 휴일 없이 근로를 강요했을 경우엔 2년이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 과태료 처분이 내려질 수 있습니다.
주휴일은 상시근로자이든, 단기 근로자이든 간에 상관없이 일주일에 15시간 이상 근무했다면 무조건 적용받을 수 있습니다. 근로자가 당연히 누려야 할 권리인 거죠.
주휴일에 만약 근무를 했다면 수당을 지급하는 것은 별론으로 하고, 반드시 대체 휴일을 제공해야만 합니다. 이 유급휴일 조항은 4인 이하 기업체에도 적용되는 조항이라는 점도 명심하시기 바랍니다.
주휴일은 꼭 일요일이어야만 할까?
그렇다면 주휴일은 반드시 일요일인 걸까요? 그렇지는 않습니다. 주휴일이 무슨 요일인지는 법에서 정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꼭 일요일이라고 보기는 힘듭니다.
더욱이 365일 가동되는 공장, 24시간 편의점 등은 일요일에도 근무할 수 있는 근로자가 필요하기 때문에 각 사업자가 편의에 따라 주휴일을 정할 수 있다고 봐야 합니다.
주휴수당 쉽게 계산하는 방법
주휴수당을 계산하는 게 복잡하다고 여기신다면 보다 쉽게 주휴수당을 계산할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. 바로 알바몬 주휴수당 계산기를 이용하는 방법입니다.
아래 링크를 들어가시면 일주일에 15시간 이상, 규정된 근무일을 개근한 근로자를 상대로 주휴수당을 계산할 수 있는 계산기를 볼 수 있습니다. 시간과 분을 선택하시고, 시급을 넣으신 다음 계산하기 버튼을 클릭하면 바로 확인 가능합니다.
주휴수당 계산기 - 알바몬
내 주휴수당은 얼마일까? 1주에 15시간 이상, 규정된 근무일을 개근한 근로자는 모두 받을 수 있어요.자세히 보기 (2020 최저시급 : 8,590원) 주휴수당 주휴수당은 1주일 동안 소정의 근로일수를 개��
www.albamon.com
만약 일주일 근무시간이 30시간이고, 시급이 9000원이라면?
예상 주휴수당은 5만4000원입니다.
다들 주휴수당에 대해 잘 숙지하시고 챙겨할 권리는 다 챙기셔서 손해보는 일 없기를 바랍니다.
'재테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자전거 필수템, 샤오미 휴대용 에어펌프 공기주입기 (0) | 2020.10.02 |
---|---|
연 10% 금리 적금이 있다고? (K뱅크X우리카드) (0) | 2020.10.01 |
카카오페이 10만원 벌기 이벤트 모음 (0) | 2020.07.12 |
사이다뱅크 파킹통장 연 이자 얼마나 될까? (0) | 2020.07.11 |
최대 연 6%, 정기적금 금리 비교 (0) | 2020.07.06 |